|
다른작품 더 보기
Time-Mix Blue,45x55cm,패널에 한지,2022
최은정 ( 崔听禎 )
1973년생
학력
1997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조소과 졸업
2002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대학원 졸업
개인전
2019 개인전, 갤러리 진선
2017 서울 국제 조각 페스타2017, 예술의 전당
2017 개인전, 아트 드 보라
2015 개인전, 아트터치 갤러리, 홍콩
2014 서울 국제 조각 페스타2014, 예술의 전당
2013 서울 국제 조각 페스타2013, 예술의 전당
2012 개인전, 에이블 갤러리 , 서울
2012 개인전, 에에블 갤러리 , 뉴욕
2009 개인전, 갤러리 진선
2007 개인전, 관훈갤러리 공모 당선
2004 개인전, 대안공간 풀- 송은 문화재단 후원
2004 개인전, 송은 갤러리
2002 모로 갤러리 초대개인전, 모로 갤러리
2002 개인전, 덕원 갤러리
초대전
2019 한강미술관 개관전 Earth=Us전
2019 KIAF 서울 국제 아트 페어, 코엑스
2018 Happy Together, 갤러리 진선
2018 KIAF 서울 국제 아트 페어, 코엑스
2017 송은 수장고-Not your ordinary art storage 특별전
2017 그림을 쓰다, 아트 드 보라 갤러리
2017 울산 호텔 아트페어, 롯데 호텔
2017 KIAF 서울 국제 아트 페어, 코엑스
2017 Hong Kong Habar Art Fair Marco Polo Hotel, 홍콩
2017 BAMA 부산국제화랑 아트페어부산, Bexco
2016 KIAF 서울 국제 아트 페어, 코엑스
2016 China creation art camp 장가계 풀만호텔, 중국
2016 Art Edition Art Fair , 킨텍스
2016 아시아 호텔 마트 페어, jw 메리어트 호텔
2015 아트 오사카 그랑비아 호텔, 일본
2015 Time전, K2 아트라운지
2015 무심전, 소마 미술관
2015 트랜드 아트페어, 코엑스
2015 데구르전, 갤러리 진선
2015 시간의 축적, 더릿지 354 아트스페이스
2015 스푼아트페어, 홍익대학교 체육관
2015 어퍼터블 아트 페어, 동대문DDP
2015 Korean Blue Waves, 독일 에쎈
2015 KIAF 서울 국제 아트 페어, 코엑스
2015 Suwon Hotel Art Fair, 노보텔 앰배서더 수원
2015 Art Edition Hong Kong, Marco Polo Hotel
2015 BAMA 2015부산국제화랑 아트페어, Bexco
2015 야외그룹 마감뉴스 전, 여수
2014 Craft Trend Fair -14, 코엑스
2014 Artist Craft, 갤러리 진선
2014 Art Edition -14, 예술의전당
2014 앙상블 전, 소공동 롯데 호텔 갤러리
2014 KIAF/14-서울 국제 아트페어, 코엑스
2014 핸드메이드 아트 페어, 코엑스
2014 야외그룹 마감뉴스 전 – 섬놀이, 제주도
2014 C.A.R Contemporary Art Ruhr, 독일
2014 Book art Korea-Japan 2014, 일본
2013 Book art Korea-Japan 2013, 갤러리 진선
2013 Time-4인 기획전, 춘천MBC내 알뮤트
2013 재료의 변용 전- 기획전시, 모란 미술관
2013 Rising Star전-하나 금융그룹 후원
2013 리폼 라이프전- 기획전시, 대안공간 눈
2013 자연이 들려주는 이야기, 예송 미술관
2013 Contemporary art ruhr-Media art fair, 독일 에센
2013 ART OSAKA, 일본
2013 FLAT TAKE1 – 팝업페어, 강남역 아이파크
2013 SOAF 서울오픈아트페어, 코엑스
2013 서울 디자인 리빙 아트페어, 코엑스
2013 ART OSAKA, 일본
2013 FLAT TAKE1 –팝업페어, 강남역 아이파크
2013 SOAF 서울오픈아트페어, 코엑스
2013 서울 디자인 리빙 아트페어, 코엑스
2012 KIAF/12-서울 국제 아트페어, 코엑스
2012 Art Show Busan, 부산 Bexco
2012 CIGE 베이징 아트페어, 베이징
2012 New York Art expo, 뉴욕
2012 SOAF 서울오픈아트페어, 코엑스
2012 젊은 작가 collection, 진선 갤러리
2011 Doors art fair, 서울 임페리얼 팰리스 호텔
2011 청담 미술제, 네이쳐 포엠
2011 After Gallery @ Nature Poem, 청담동
2011 KIAF/11-서울 국제 아트페어, 코엑스
2011 AAF -Affordable Art Fair, 뉴욕
2011 “Reve de Artiste’ 뉴욕
2011 New York Art expo, 뉴욕
2011 “Unseen Altitudes”, 뉴욕
2011 SOAF 서울오픈아트페어, 코엑스
2011 collection-breeze, 진선 갤러리
2010 삼인전, 구로 아트 밸리 갤러리
2010 life is life, 남송 미술관
2010 33주년 기념전 -330인전, 선 화랑
2010 SOAF 서울오픈아트페어, 코엑스
2009 송은미술대전수상자 추모전시, 송은 갤러리
2009 SOAF 서울오픈아트페어, 코엑스
2008 젊은 작가 collection, 진선 갤러리
2008 SOAF 서울오픈아트페어, 코엑스
2008 Woman's Holic, 갤러리 on
2007 Asia-Europe Meditations, 독일
2007 인사동 – 퓨젼의 하모니, 본 갤러리
2007 종이 물결전, 진선 갤러리
2007 포천 아시아비엔날레, 포천
2007 조각프로젝트-공간을 치다, 경기도 미술관
2006 Skin전, 갤러리 정미소
2006 낙엽 전, 호수 공원
2006 행주 문화축제, 호수공원
2006 안성 죽산 국제 예술제 용설 아트
2004 책을 닮은 사람들 , 사람을 닮은 책, 금호갤러리
2004 아름다운 가게, 쌈지 스페이스
2003 이름찍기 전, 대안공간 in the roof
2003 “과학의날” 어린이들을 위한 전시,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2003 “동화속 미술여행”, 갤러리 현대
2003 기획선정-빛의 공작소”, 서울 시립미술관 600주년 기념관
2002 Flag art festival
2002 기획선정 - ( )보다, 국립 서울 맹학교
2002 ‘작은방’ 세번째 이야기 <방>, 동동갤러리
2001 기획선정 - ‘休’전, 성곡미술관
2000 작은방’ 첫번째 이야기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대안공간 in the roof
2000 작은방’ 두번째 이야기<날아보기>, Cafe봄)1999
2000 젊은 조각, 21세기 가늠전, 한서 갤러리
1999 제6회 ‘飛’전 <물>, 덕원 갤러리
1999 Ewha Action Vision, 예술의 전당
1999 B5 엽서전, 대안공간 in the roof
수상
2012 SOAF 2013 “영아티스트” 선정
2012 Art Show Busan “이 작가를 주목하라”
2009 종이문화 공모대전 – 대상 (문화관광체육부 장관상)
2009 소마 미술관 4기 아카이브 작가
2007 관훈 갤러리 기획공모 당선
2006 미술공간 현 기획 공모 - 1등
2004 경인 미술대전 - 우수상
2004 KBS 자연환경 미술대전 – 특선
2003 송은 미술대전 -미술상
작품소장
종이문화재단 / 송은 문화재단 / 성문 출판사
(주)도시와 사람 / 쌈지 스페이스 / 삼현타일
경원대학교 출강 (2010-2012) / 이화여자대학교 출강(2006-2009)
작품 세계
주관적 시간을 ‘짓는’ 작품들
최은정은 시간을 짓는다. 어쩌면 시간의 결과물을 짓는다는 표현이 더 정확할 듯하다.
시간은 눈으로 볼 수 없는 것이지만, 그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마치 바람과 같은 구조이다. 바람은 눈으로 볼 수 없지만,
그것이 스쳐 지나간 흔적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잔잔하게 일렁이는 나뭇잎과 거세게 변한 광폭한 파도는 그곳에 바람이 있었음을 알려준다.
시간은 바람과 같아서 눈으로 볼 수 없지만, 만질 수 없지만,
바람과 같은 시간은 최은정의 작업에서 무수한 결과 겹 그리고 층위를 통해 머물어진다.
최은정의 작업은 시간의 은유이자, 시간 그 자체를 짓는 행위이다.
따라서 그의 작업에서 공간의 층위는 시간의 집이라고 할 수 있다.
김지영 ( 전시기획자. 미술평론 )
최은정의 테마는 시간이다
2002년 초장기의 작품은 객관적으로 시간을 겹겹이 쌓아 올리는 형상으로 표현했고
2004-2007년에는 주관적 의미의 시간에 집중 한다. 지문, 주름, 결등을 비정형화되고
유기적인 형태의 작업을 통해 심리적 시간을 구현했다.
2007년 이후는 거대한 자연의 형상 속에서 시간의 양상을 암석,
지층에서 나타나는 지형의 퇴적물 등 자연 속에서 쌓여지는 시간의 형태로 표현했다.
2010년 이후는 자연 현상 속에서 나타나는 시간의 색을 좀 더 심화된 작업을 시도하고
실험적인 칼라 톤을 내기위해 기존의 신문지에서 한지,
화선지로 재질의 폭을 넓히고 기술적인 실험을 통해 과감한 색감과 밀도 있는 질감을 드러낸다.
2020년이후 작업은 자연에서 느끼고 경험하는 시간을 색으로 표현한다.
작품 설명
Time
자연 현상 속에서 표현되는 시간의 개념을 심도 있는 색감으로 드러낸 작품이다.
색감의 변주를 통해 변화하는 자연 현상 속에서 실체를 드러내는 시간의 모습을 포착해 낸다 .
*Red
작품에서 표현된 빨강은 해가 뜨고 지는 풍경을 담고 있다
하루의 시작과 마무리를 물에 비친 자연의 색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
*Green
작품에서 표현된 녹색 은 자연 그 자체의 색이다.
자연을 통해 심리적 시간을 반복과 겹침 .층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
*Yellow
작품에서 표현된 노랑은 가을을 상징한다.
깊어하는 계절 속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자연의 색을 표현한 작품이다.
*Blue
작품에서 표현된 파랑은 물을 의미하며 물을 통해 느껴지는 심연,
파도의 너울, 파도의 반복성을 시간의 형태로 표현한 작품이다 .
작품제작 과정
한지, 화선지등 종이를 수성 안료로 염색하며 반죽 하고
염색된 색 한지도 함께 반죽하여 색의 다양성과 색의 깊이를 표현한다.
물에 종이를 담그고 주무르고 염색한 후 형태를 잡아서 외부에서 건조 한다 .
다양하게 건조된 여러 칼라의 종이를 컷팅 하여
핀셋으로 한올 한올 접착제를 통해 나무로 제작된 판넬 위에 붙이는 작업을 통해 작업은 진행 된다 .
염색으로 다 표현되지 못하는 칼라는
기존의 염색된 한지를 구매 후 다시 반죽의 과정을 통해 나의 재료로 만든 후 작업한다.
나의 작업은 재료를 만드는 시간부터 작업을 하고 완성하는 모든 시간을 담고 있다.
갤러리아트리에 전시전경
그 외 전시 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