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미희
    Crosswind

  • Code 1731996580
    작품사이즈 80.3x80.3cm(40호)
    재료 cardboard, acrylic, canvas on panel_2022
  • 액자종류
    매트종류
  • 배송기간 7-10일
  • 작품가격 4,800,000원
    액자가격 0원
    매트가격 0원
    적립금 96,000원
    합계가격 4,800,000원

    무이자할부

  • 구매하기
    목록보기
    장바구니


 





Crosswind_80.3x80.3cm(40호)_cardboard, acrylic, canvas on panel_2022






홍미희  Mihee HONG 



작가노트

 

 

보통 회화는 평평한 표면 위에서 화면의 깊이를 붓의 텍스처, 색과 선의 중첩 등으로 표현되거나 원근법으로 대상의 거리를 



시각화 한다. 


하지만 나는 평면회화와 다른 형식으로 조각적 회화라 할 수 있는 저(低)부조 회화 작업을 하고 있다. 


저부조회화는 화면의 깊이를 실재(實在)의 낮은 부조 형태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하나의 화면이 존재하는 평면회화와는 달리, 캔버스의 다섯 측면 이미지가 다르기 때문에


감상자에게 능동적 움직임을 요구하며 다각적 시선으로 감상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작업의 주재료는 회화의 기초재료들을 기본으로 한다. 캔버스천, 종이(종이보드), 




캔버스틀 등을 활용하여 화면의 깊이를 변주한다. 


회화의 기초 지지대인 사각형 형태를 유지한 채로 아크릴 채색된 캔버스천을 균일하게 잘라 (높이의 변화가 있는)구조체 위에


나열하듯 붙이거나 종이보드를 층층이 쌓아 올려 화면의 높이를 구조화하고 채색한다. 


거기에 더불어 화면보호 역할을 하는 아크릴프레임을 작품구조에 맞게 변형하기 등으로 회화의 깊이를 표현한다. 

 


 화면의 깊이를 평면회화와는 다른 방식으로 말하면서 회화에서의 물리적 깊이와 동시에 




우리가 보는 것에 대한 심상적 깊이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정면에서 감상하는 고정적 시선을 지양하고 감상자에게 다각적 시선으로 대상을 바라볼 수 있도록 표현된 작품에는


수직, 수평이나 보색 등 상반된 개념들을 응축하여 상생의 균형과 조화로움을 추구하고 있다. 







Horizontal Lines O1_91x91cm(50호)_acrylic on canvas_2022








학력


2019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2005 성신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주요 개인전


2023 사적인 풍경 / 김리아갤러리 / 서울

2022 INTERSPACE / 수호갤러리 / 성남

2021 불가분의 관계 / 갤러리살롱드아트서울

2019 숨겨진 층 / 갤러리이즈서울

 

주요 단체전


2023 Natura Nature / AD갤러리 / 서울

2023 자연과 인간탐구와 대화 / 갤러리초이 / 서울

2023 TWOTWO / 아트앤 / 서울

2023 Geo Geo-Logy / GO갤러리 / 서울

2022 흔적의 풍경 / 김리아갤러리 / 서울

2022 Multiverse(THE SHIFT 7기 선정작가전) / 갤러리박영경기도 파주

2022 Summer Chilling Art Space / 김리아갤러리 / 신세계백화점 본점

2022 생동하는 공간의 세계 / 수호갤러리 / 경기도 성남

2022 선들의 공간 / 웃다리문화촌 / 경기도 평택

2021 Zero;Re-form/ 더갤러리영갤러리 / 경기도 양주 
2021 SWITCH ART MARKET / 백해영갤러리 / 서울
2021 New artists, New waves / 수호아트뮤지엄&수호갤러리 / 성남&화성
2021 New Vibes Rising Artist / 롯데갤러리 / 인천
2021 New Normal New Wave / 세종문화회관 / 서울
2021 BIAF뉴웨이브작가선정특별전 / 마루아트센터 / 서울
2021 내 마음 별과 가치 / 살롱드아트 / 서울 
2021 각양각선 / 아트비프로젝트 / 서울
2021 서로 다른, 접점 / 갤러리스틸 / 안산 외 다수

수상 및 지원

2022 문화예술인 지원사업 선정작가 – 안양시, 안양문화재단
2021 14회 수호공모당선 선정작가 – 수호갤러리
2020 지역예술활동 공모지원사업 예술인 선정 – 경기문화재단, 안양문화예술재단
2019 제8회 갤러리이즈 신진작가 창작지원 프로그램 선정작가 – 갤러리이즈
2018 하안문화의집 공간활성화사업 신진작가 선정 및 연계프로젝트 작가선정 - 광명문화재단 
2017 안양지역예술활동 공모지원사업 작가선정 – 안양문화예술재단

레지던시

2022~현재 안양예술인센터 입주작가 – 안양시, 안양문화예술재단
2021 더갤러리영 창작스튜디오 레지던시 제1기 입주작가 – 경기도 양주시 장흥
2019 수리산상상마을(구.군포책마을) 문화예술창작촌 제2기 입주작가 – 군포문화재단

주요 아트페어 

2024 Kiaf / COEX / 서울
2024 Diaf / EXCO / 대구
2024 브리즈아트페어 /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 서울
2023 아트부산 / BEXCO / 부산
2022 URBAN BREAK ART FAIR / COEX / 서울
2022 아트부산 / BEXCO / 부산
2022 화랑미술제 / SETEC / 서울


작품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서울특별시 박물관과, 수호나눔재단, 르오네뜨CC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