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검색

작가소개

Artists

이동욱 LEE DONG WOOK

이동욱

 

 

🖋 작업설명​

풍선 작업은 27살에 찾아온 공황에 의해 시작되었다.

 

언제부턴가 아무런 이유도 없이 불안함을 느끼기 시작하더니 그때쯤에는 일상을 유지하기 어려울 정도로 심해져 있었다.

그 불안증은 원인도, 대상도 없었기 때문에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도무지 알 수 없었다.

 

여전히 정체를 알 수 없는 불안증에 시달리던 어느날, 그날도 아무것도 하지 못한 채 작업실 의자에 그냥 멍하니 앉아있었는데 순간 의식의 흐름이 중단되고 모든 신체의 감각이 사라진 듯한 상태가 찾아 왔다. 그때 순식간에 내 주위로 온통 어둠이 펼쳐졌다.

그것은 시각적 어둠이 아닌, 차라리 촉각적 어둠이라 표현하는 것이 맞는 것 같았다. 총체적으로 어두웠다.

그 어둠 속에서 나의 몸은 사라지고 의식만 둥둥 떠 있었다. 그런 상태가 얼마간 지속되었을 때, 어둠 한켠에서 붉은 풍선 하나가 아주 서서히 떠오르는 듯 한 환영이 보였다. 심연으로부터 아주 미약하게 빛나는 작은 빛줄기 같았다.

그 일을 겪은 후 풍선을 그려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풍선을 그리는 순간, 불안증이 가라앉았다.

불안으로 인해 30분도 앉아있지 못했던 내가 풍선을 그리는 동안은 12,3시간씩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때부터 풍선은 공황의 심연으로부터 나를 끌어올려 준 희망의 상징이 되었다.

그렇게 풍선은 불안의 표상이자 해소하기 위한 매개물로서, 그리고 세상을 바라보는 하나의 창틀로서 작품 속에 드러나게 되었다.

 

 

A Day_192x144cm (24x24cm x 48units)_Oil on canvas_2022

 

🖋작가노트 

풍선은 외압에 상응하는 내적 긴장감을 유지해야만 떠오를 수 있다.

풍선이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같은 크기의 힘으로 견뎌내기 때문이다. 조금이라도 힘의 균형이 깨진다면 풍선의 형상은 유지할 수 없다. 풍선은 그 작고 약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힘의 균형을 맞춘다. 외압이 강해지면 풍선은 오그라들고, 내압이 강해지면 터져버린다. 두 가지 모두 풍선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으며, 그 본질인 떠오름을 할 수 없다. 그것은 한순간도 방심할 수 없는 내적 긴장감이며, 언제 그 존재가 소멸할지 모르는 강박적 불안감을 나타낸다.

그 모습은 마치 우리들을 닮았다 생각한다. 거스를 수 없는 거대한 외력 앞에 선 우리들은 자신의 실존을 잃지 않기 위해 그 힘에 맞선다. 물러설 수도, 제압할 수도 없이 딱 그만큼의 힘으로만 버텨낸다. 우리들은 버텨내기 이외에는 그 무엇도 할 수 없다. 조금이라도 균형이 깨진다면, 실존 자체가 위태로워진다. 그렇기에 우리들은 그 근원에 불안감을 품고 있다. 언제라도 균형이 깨져 자신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불안감, 끊임없이 긴장을 유지해야만 하는 불안감이다. 날 위에 서 있는 강박적 불안감이다. 그 불안은 절대 사라지지 않는다. 자신의 실존 문제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풍선은 우리가 품고 있는 강박적 불안감의 현시이다.

 


I used to miss you_72x90cm_Oil on canvas_2022



그럼에도 불구하고, 풍선은 떠오르고 우리의 존재는 이어진다. 절대적 소멸이라는 비극 앞에 덧없고 미약한 존재이지만, 어둠 속을 떠도는 미광의 반딧불처럼 스스로 존재를 밝히며 그 비극에 저항하기를 멈추지 않는다. 풍선은 절망의 어둠 속에서 한 발을 내딛게 해주는, 연약하지만 실체를 가지고 있는 희망이다.

풍선 그림은 이런 존재의 불안을 풍선에 비유해 회화적 언어로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표현된 감정은 그 자체로 순화의 기능을 가진다. 곧 내가 풍선을 그리는 이유는 존재가 내포한 불안의 환기를 위한 제의적 성격을 띠고, 그럼으로써 존재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의례로서 작용하길 희망하기 때문이다.

 



 만개_90x72cm_Oil on canvas_2022
 
 

 

학력

충남대학교 서양화과 졸업

 

개인전

2016 당신의 자리(서울 뮤온예술공간)

2012 이동욱개인전(두바이 오페라갤러리)

2010 이동욱개인전(서울 오페라갤러리)

선물전(서울 까르띠에매장)

 



 

함께_60x72cm_Oil on canvas_2022

 

단체전

2016 김효정.이동욱 2인전(파주 갤러리박영)

come out(서울 카라스갤러리)

대전, 꿈꾸다 그리다(대전 아트센터 쿠)

2015 중심축-경계를 넘어(베이징798예술구 선성화랑)

SUMMER ART SHOW(서울 아트스페이스 벤)

2014 양립할수 없는 것들의 응집(서울 오페라갤러리)

채러티 바자(서울 스페이스k-과천)

2013 채러티 바자(서울 스페이스k-서울)

2012 낯익은 풍경(서울 오페라갤러리)

뷰티풀 스타(서울 비욘드 뮤지엄)

희망레시피(서울 스페이스K-과천)

2011 상승기류(과천 스페이스k-과천)

GUEST & GATE(대전 산호여인숙)

BLACK & WHITE(서울 오페라갤러리)

K-POP(싱가폴 오페라갤러리)

2010 욕망과 허상에의 기록(대구 시안미술관)

2009 초콜릿전(대전 모리스갤러리)

2008 스튜디오 유닛8회옥션파티(서울 더시우터아트무한스페이스)

리뷰전(대전 우연갤러리)

재앙의 역사전(서울 삼청갤러리)

봉산 미술제(대구 신미화랑)

DREAM전(서울 홈플러스갤러리잠실점)

청년미술제전(대전 대미갤러리)

아시아프1부전(서울 구서울역사)

한국미술내일의 주역전(대전 현대갤러리)

 

 



 Midnight blue_72x90cm_Oil on canvas_2022


아트페어

2017 서울아트쇼(서울 코엑스)

2017 KIAF(서울 코엑스)

2016 KIAF(서울 코엑스)

아트 사우스햄튼(미국 사우스햄튼)

어포더블 홍콩(중국 홍콩)

G-서울 아트페어(서울 ddp)

어포더블 싱가폴(싱가폴) 그 외 다수

 



 Sky diving_90x72cm_Oil on canvas_2022


콜라보레이션

2015 스누피 65주년(서울 에비뉴엘 롯데월드점)

 

공모 및 프로그램 선정

2015-16 차세대 artistar 3기(대전 대전문화재단)

 

  

 

헤아릴수 없는 마음_60x72cm_Oil on canvas_2022


 

 Gallery Artrie

 작품 문의

 02-587-4110

 오픈 채팅

 https://open.kakao.com/o/slNKoB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