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란 KIM JUNG RAN
🖋 작가노트 ‘왜 지금 한국화를 말하는가?’라는 질문은 ‘왜 지금 예술을 말하는가?’와 같은 차원의 질문이다. 미술이 장르를 뛰어넘고 통합을 시도하는 이때에 한국화라는 작은 부분을 말하는 것이 국수적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물리학을 연구할 때 거시적으로는 우주 전체를 말하지만 미시적으로는 원자 또는 그보다 작은 양성자와 중성자, 전자까지도 관찰한다. 그렇다고 양자역학이 천문학의 하위 개념이 아니듯 한국화도 예술의 하위 개념은 아닌 것이다.
한국화를 생각한다는 것은 예술이라는 거시적 관점과 같은 또 하나의 관점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미시적 관점이 결코 그른 것이 아니듯 한국화라는 아주 작은 부분을 생각한다는 것은 예술을 말하는 것과 같은 맥락일 뿐이다. 예술은 지극히 사소한 것에서부터 거대 담론을 끌어내기도 하고 전체적인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자기만의 고유 감정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력 1996. 2. 상명대학교 미술학과 졸업 2000. 2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한국화 전공 졸업 (논문 : 조선후기 초상화양식 변화에 나타난 시대적 의미) 2013. 8 상명대학교 조형예술 디자인 학과 미술전공 졸업 (논문 : 어린이 모티브 그림 연구-타자성 표현을 중심으로)
서울을 거닐다_65x53cm_비단에 채색&프린팅 배접_2018
개인전 2023. 01. <Draw23-線男線女>, 북촌한옥촌, 서울시 종로구 2022. 11. <Draw>, AHA갤러리, 경기도 기흥 2021. 10. <댕기머리 마산기행>, Massan갤러리, 경남 창원 2020. 11. <긋다> 가고시포갤러리, 서울 2020. 11. 마니프-뉴시스 온라인 아트페어, https://m.kartpark.net 2019. 07. <꿈, 이다> 아트비트갤러리 기획 초대전, 서울 2018. 12. <吉하고 祥서러운> 갤러리밈 제3전시장, 서울, 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메세나 후원 2017. 10. <마니프 국제아트페어> 초대 부스전, 예술의전당, 서울 2016. 10. <북촌을 거닐다> galleryFM 기획초대전, 서울 2016. 10. <구상대제전> 초대 부스전, 예술의전당, 서울 2016. 02. <With>, 팔레드서울 기획 초대, 서울 2015. 11. 개인전, 세종문화회관 광화랑 기획 공모, 서울 2015. 07. <인물과 초상>, 장은선갤러리, 서울 2015. 03. <21세기 미인도 Ⅱ-The Queens>, 가나아트스페이스 , 서울 2014. 11. <구상대제전> 초대 부스전, 예술의전당, 서울 2013. 09. <성당에 간 동자승>, 카톨릭회관 평화화랑, 서울 2012. 03. <볼 수 있는 것과 알 수 있는 것들>, 한전아트센터 갤러리, 서울 2011. 10. <마니프 국제아트페어> 초대 부스전, 예술의전당, 서울 2010. 07. <21세기 미인도>, 팔레드서울, 서울 2010. 04. <아트서울> 초대 부스전, 예술의전당, 서울 2010. 01. 개인전, 정독갤러리, 서울 2009. 05. <아트서울> 초대 부스전, 예술의전당, 서울 2007. 07. 경향 신문사 선정 <오늘의 작가상 수상 기념전>, 경향갤러리, 서울 2007. 04. <동양화 새천년> 기획 부스전, 예술의전당, 서울 2007. 02. <서울시립정독도서관 갤러리 오픈기념 초대전>, 정독갤러리, 서울 2006. 08. <경향신문창간60주년 기념 초대전>, 경향갤러리, 서울 2002. 09. <제 2회 개인전>, 인사갤러리, 서울 2001. 03. <제 1회 개인전>, 인사갤러리, 서울
비단위의 인어공주_58x147cm_비단에 채색_2023
2인전 2017. 09. <인간을 바라보는 두가지 시선>, 가고시포 갤러리 초대, 서울 2017. 10. <인사동 나들이>, 장은선 갤러리 기획, 서울
국내외 단체전 2022. 한벽원갤러리 (서울). <이미지의 경계> / 코엑스B홀 (서울). <2022 조형아트서울> / 강릉아트센터 (강릉). <아트강릉22> / 서귀포예술의전당 (제주 서귀포시), <2022사계예술제 기획-놀멍, 쉬멍, 그리다> / 아트비앤갤러리 (서울), <떠나요!> / 가모갤러리 (서울), <동행> / 경희대학교미술대학미술관 (서울), <모두를 위한 미술교육> / 상명대학교미래백년관갤러리 (서울), <상명대학교동문전> / 감귤박물관 (제주서귀포시), <감귤아트페스타> / Westen-gallerywesten (Los Angeles), <THE NEW PAST> / 세종문화회관미술관 (서울), <오래된 미래와 새로운과거> / 한벽원갤러리 (서울), <포스트펜데믹-사유와 일탈전> / 창원대학교전시장 (창원시), <Contemporary Design Web Art International Exhibition> / 리빈갤러리 (부산), 제18회 삼색전 <시공의 변주> / ICC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 서귀포시), <탐라국제아트페어> 2021. 한벽원갤러리(서울) <안평안견예술정신전>, 예술공간파도(제주) <장소, 예술, 소통>, 부산아트센타(부산) <부울경 미술 교류전>, 동덕아트센터(서울) <생태·생태예술과 여성성>, 귤박물관(제주) <귤림추색>, 장은선 갤러리(서울) <Another season> 2020. 이천시립 월전미술관 <띠 그림>전, 한벽원갤러리 <안평안견 예술정신전>, 부산아트센타 <부울경 미술 교류전>,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행복팔경> 2019. 안상철미술관 <한국화, 이야기하다>, 한벽원갤러리 <안평안견 예술정신전>, 세종문회회관미술관 <두 겹의 그림자 노동> 2018. ARTISTSPACE 15.8 <집 그리고 기억>, 조선일보미술관 <椽-필연적 관계성>, 가고시포갤러리 <소소화> , 인도 Chennai 인코센타 <Korean color>, 고양 아람누리 갤러리누리 <Korean color and India>, 국제 수묵비엔날레 <목포 문화예술회관> 2017. 장은선갤러리 <인사동 나들이>, 가고시포갤러리 <인간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팔레드서울갤러리 <서울의 궁>, 이천시립 월전미술관 <현대인의 초상>, 조선일보미술관 <不二-여성과 자연>진천종박물관 <光風霽月관>, 비디갤러리 <한국미와의 조우>, 동덕미술관 <거북이는 한국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홍콩 콘래드호텔 <Asia Contemporary Art Show> 2016. 이정아갤러리 <서울구경>, 갤러리피치 <봄, 바람을 만지다>, 조선일보미술관 <와유, 일상과 풍경에서 노닐다>, 모스크바 주재 한국대사관문화원 <마음의 표정과 긍정의 아포리아> 2015. 도쿄 일중우호회관 <아세아 미술대전>, <아트멘토스초대전-송암 갤러리, 한전아트센타갤러리, 아산병원 갤러리>, 조선일보미술관 <예술, 공감의 코드> 2014. 도쿄 일중우호회관 <아세아 미술대전- >, <아트멘토스 초대전-갤러리, 구하갤러리, N갤러리, 소로로갤러리>, <여성작가회정기전-조선일보미술관>, <파리국제전畵·風-프랑스 파리 Galerie BDMC갤러리>, <3인의 시간여행-409갤러리>
2013. <아세아 미술대전 - 일중 우호회관>, 도쿄. 외 다수 2013. 아우름미술관 <바라보다>, 샬레작은갤러리 <열- 아름다운 색깔>, 갤러리골목 <시각, 감성, 그리고 펼침> 2012. <자화상 전>, 서신갤러리, 전주. 외 다수 2011. <한국화 옛 뜰에 서다, 예술의 전당>, 서울. 외 다수 2010. 동덕아트갤러리 기획 <NON PLUS ULTRA전, 동덕아트갤러리>, 서울 외 다수 2009. <『하하 미술관』출판 기념전, 금산 갤러리>, 경기 외 다수 2008. 갤러리온 기획 <The Story of Childhood, 갤러리온>, 서울 외 다수 2007. <2007 신년 경향신문사 특별 초대전, 경향갤러리>, 서울 외 다수 2006. <상명대학교 박물관 기증 전, 상명대박물관 >, 서울 외 다수 2006. 60인의 독서 그림 <책 사랑 그림 사랑 전, 서울 프레스센터갤러리·교보문고 갤러리>, 서울·대구 외 다수 2005. 갤러리 라메르 기획<아름다운 초상화전, 갤러리 라메르>, 서울 외 다수 2000. 광주비엔날레 <인간의 숲 자연의 숲 전, 광주 비엔날레 전시장>, 광주 외 다수
비단위의 엘사_비단에 채색_58x157cm_2022
수상·수혜 및 기타 사항 2022. 문화예술위원회·한국메세나 수혜 - 전시 <떠나요!> 2021. 문화예술위원회·한국메세나 수혜 - 전시 <장소·예술·소통> 2019. 문화예술위원회·한국메세나 수혜 - 전시 <한국화, 이야기 하다> 2018. 문화예술위원회·한국메세나 수혜 - 전시 <吉하고 祥서로운> 문화예술위원회·경기문화재단 수혜 - 전시 <Korean coloer and India> 2017. 문화예술위원회·한국메세나 수혜 - 전시 <서울의 궁> 2015. 세종문화회관 광화랑 공모 – 김정란 개인전 2012. 한전아트센타 갤러리 공모 – 김정란 개인전 <볼 수 있는 것과 알 수 있는 것들> 2007. 경향신문사 경향갤러리 선정 오늘의 작가상 수상, 경향 갤러리 2000. 대한민국 미술대전 입선, 국립 현대 미술관 1999 ~2001. 나혜석 미술대전 특선 4회, 수원 문화예술회관 외 수상 다수 2010. 8. LG생활건강 론칭행사 "수려한과 <21세기 미인도>의 조우" -호림아트센타 J&B갤러리 2007. 1~ 2009.1. 조정래 <태백산맥 문학관> 외벽 - 일랑 이종상 벽화 "백두대간의 염원 연구원
작품소장 경향 신문사, 상명대 박물관, 오대산 상원사, LG생활건강 작품소장
기획경력 2022. <떠나요!>, 서울시 삼청동 아트비앤갤러리 주최 : 한국세필화 연구소 / 지원 : 지중공영 / 후원 : 문화예술위원회·한국메세나 2019. <한국화, 이야기 하다>, 경기도 양주시 안상철미술관 주최 : 한국세필화 연구소 / 지원 : 지중공영 / 후원 : 문화예술위원회·한국메세나 2018. <Korean color and India>, 고양문화재단 아람누리 갤러리 누리 주최 : 김정란 / 후원 : 한국 빅텍, 한국 문화예술 위원회, 경기 문화재단 2017. <서울의 궁>, 팔레 드 서울 갤러리 주최 : 한국 세필화 연구소 / 지원 : 지중공영 / 후원 : 한국 문화예술 위원회, 한국 메세나 협회
still-life-2_한지에 채색, 선묘_46x60cm_2018
연구논문 2018. 6.「매체혼성으로 표현된 북촌 풍속도」, 『미술문화연구』, 동서미술문화학회 제12호 2021. 4.「한국미로서 동물 표상의 주술적(呪術的) 표현연구_십이지신(十二支神)도상을 중심으로」,『미술문화연구』,동서미술문화학회 제16호
저서 2018. 『미인도 컬러링』, 책앤 2020. 『모던 공필화』, 책앤
현재 경남대학교 조교수, 한국세필화 연구소장 Gallery Artrie
|